2024. 11. 11. 16:18ㆍ정보보안 및 해킹/2024 취약점
멀버타이징 Malicious Advertising
온라인 광고를 사용해 멜웨어를 퍼뜨리거나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리디렉션 하는 것
작동 원리
광고 공간 구매
합법적으로 광고를 걸 수 있는 공간 구매
감염된 광고 배포
무해해 보이는 이미지 및 텍스트의 백그라운드에 악성코드를 심어 실행
구매한 공간에 개제
광고 로드 시 감염
악성 광고가 로드되는 즉시 해당 광고의 멜웨어가 활성화
클릭 기반 감염
광고 클릭 시 멜웨어 활성화 및 설치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광고를 로딩하는 것으로 멜웨어 활성화 및 설치
악성 리디렉션
악성 코드가 브라우저 요청을 가로채 악성 웹사이트로 리디렉션
에드웨어와의 차이점
에드웨어
멜웨어를 활성화 하기 위해 이미 멜웨어에 감염되어 있어야 함
비정상적인 위치에 광고 표시
멀터바이징
멜웨어가 활성화 되기 위해 별도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없음
합법적인 웹사이트를 통해 퍼짐
유형
스테가노그래피
무해해 보이는 이미지에 악성코드 숨김. 백그라운드에서 악성코드 실행
다언어코드 이미지
악성 코드와 모든 실행에 필요한 스크립트 포함. 멀티 레이어 공격 가능
기술 지원 사기
전화를 요청. 금전이나 개인정보를 요구
스케어웨어
컴퓨터 감염 회복을 위한 솔루션 다운로드 요청. 악성 솔루션임.
리워드 제공 사기
설문조사 참여, 리뷰. 개인 데이터를 훔치거나 멜웨어를 설치.
사기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멜웨어 설치.
위협
개인 데이터 도난.
스파이웨어로 개인정보를 수집, 가짜 웹사이트로 로그인 자격 증명을 입력하도록 함. 해당 정보를 도용.
랜섬웨어 배포 가능
회사 네트워크의 기기 중 하나를 감염시킨 경우 네트워크 전체를 감염.
예방법
실시간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안티바리어스 사용 - AVG 등
정기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안에 특화된 브라우저 사용
플러그인 확인 - 불필요한 플러그인 비활성화 및 정기적 업데이트
안전한 웹 브라우징 사용 습관 - HTTPS 확인 등
ref. https://www.itworld.co.kr/news/344635
"보는 것만으로도 위험한 광고" 멀버타이징의 작동 원리와 대처법
웹 서핑을 하던 중 갑자기 PC 속도가 느려지고 알 수 없는 팝업창이 나타난다. 개인 데이터가 도난당했다. 사이버 범죄를 다룬 영화에서나 나올
www.itworld.co.kr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mtype=3&tab_type=H&idx=132493
[카드뉴스] 온라인 광고로 멀웨어를 퍼뜨리는 악성 행위 ‘멀버타이징’
‘멀버타이징(malvertising)’이란 ‘악성 광고(malicious advertising)’의 줄임말로 온라인 광고를 사용해 멀웨어를 퍼뜨리거나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리디렉션하는 것을 의미한다.
m.boannews.com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tab_type=1&idx=132264
페이크뱃 로더, 악성 광고로 가짜 웹사이트 접속 유도... 악성 MSI 설치로 공격
최근 ‘페이크뱃(FakeBat)’ 로더를 악용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검색하는 사용자에게 악성 광고를 표시하고, 가짜 웹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공격이 발견됐다. 이 공격의 최종 목
m.boannews.com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47462
광고 악용하는 애드웨어와 멀버타이징, 어떻게 다를까?
웹서핑을 조금만 해도 수없이 볼 수 있는 온라인 광고들. 최근 들어 이러한 온라인 광고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보안을 위협하는 데 있어 광고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m.boannews.com
광고 뒤에 숨어서'··· 멀버타이징의 작동 원리와 대처법
•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 : 무해해 보이는 이미지에 악성 코드를 숨기는 기술이다. 몇 개의 픽셀을 변경해 그 차이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도록 한다. 코드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
www.cio.com
'정보보안 및 해킹 > 2024 취약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 넷플릭스 피싱 (0) | 2025.01.03 |
---|---|
[보안뉴스] 고이슈 (GoIssue) (1) | 2024.11.16 |
[보안뉴스] 다운데이트 (0) | 2024.11.01 |
[ISEC] Data Lineage (1) | 2024.10.05 |
[ISEC 2024 TITLE] DSPM (2) | 2024.10.05 |